Allora Network 완전 해부: DeAI의 혁신과 Cosmos 생태계의 시너지

중앙화 AI 이후의 새로운 가능성

오늘날 인공지능은 산업 전반을 혁신하는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AI 인프라는 구조적으로 중앙화되어 있습니다. Google, OpenAI, Anthropic과 같은 소수 대기업이 데이터와 모델, 그리고 막대한 연산 자원을 독점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 개발자나 소규모 프로젝트는 접근 자체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로 인해 AI의 민주화는 아직 멀었으며, 투명성과 공정성도 크게 부족합니다.

특히 Web3 생태계에서는 이러한 중앙화된 구조가 블록체인이 추구하는 탈중앙화, 투명성, 개방성의 철학과 맞지 않습니다. 블록체인은 누구나 네트워크에 기여하고, 데이터를 검증하며, 토큰 경제를 통해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열린 시스템을 지향합니다. 그러나 기존의 AI는 여전히 폐쇄적인 환경 속에서 운영되고 있는 것이죠.

이러한 상황에서 등장한 것이 바로 Allora Network입니다. Allora는 Cosmos SDK 기반의 Layer 1 블록체인 위에 구축된 자가 개선형( self-improving ) DeAI 네트워크로, 단순히 모델을 배포하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 집단 지능을 블록체인 위에 올리고 있습니다. Allora는 누구나 모델을 기여하고 평가하며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해, Web3 생태계에서 새로운 지능 레이어(intelligence layer)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Allora란 무엇인가?

Allora Network는 “AI를 탈중앙화한다”라는 단순한 비전을 넘어, 네트워크로서 진화하는 집단 지능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2024년 초 Allora Labs(구 Upshot)가 주도해 공식 발표되었으며, 출시 초기부터 Web3 커뮤니티와 VC들로부터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Allora는 웹 인터페이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API, 그리고 오라클 통합을 통해 다양한 사용자와 개발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Allora의 철학은 “Collective Knowledge Creates the Best Inferences”, 즉 집단의 지식이 최고의 추론을 만든다는 문구에 잘 드러나 있습니다. 단일 대규모 언어 모델(LLM)에 의존하지 않고, 다수의 모델이 서로 경쟁하고 협력하면서 더 나은 결과를 만들어내는 구조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중앙화 AI 서비스가 제공할 수 없는 차별성입니다. Allora는 결과적으로 “Web3의 지능 레이어”라는 별칭을 얻으며, DeFi, RWA, 예측 시장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인텔리전스 허브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기술 아키텍처와 핵심 구성 요소

Allora Network의 가장 큰 특징은 역할 기반의 참여 구조와 집단 지능 메커니즘입니다. Allora는 세 가지 핵심 참여자와 모듈을 중심으로 작동하고 있습니다.

  1. Topics
    Topics는 특정 문제 영역을 다루는 서브 네트워크입니다. 예를 들어, “SOL/USD 가격 예측”이나 “DeFi 프로토콜 위험 평가”와 같은 주제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토픽별로 어떤 데이터를 다룰지, 어떤 평가 메트릭을 사용할지, 어떤 보상 구조를 적용할지가 결정되고 있습니다. 사용자는 토픽에 추론 요청을 보내고, 이에 대한 수수료를 지불하고 있습니다.
  2. Workers
    Workers는 실제 예측을 생성하는 모델 운영자입니다. 이들은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구동하여 입력 데이터를 바탕으로 추론을 산출하고 있습니다. Workers가 제출한 결과는 Reputers에 의해 평가되며, 정확성과 신뢰성에 따라 보상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3. Reputers
    Reputers는 Workers가 제출한 예측 결과를 검증하고 평가하는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이들은 예측의 정확성을 비교하고 신뢰성을 판단해, 네트워크 전체가 더 정밀한 방향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Reputers의 평가는 단순히 평가에 그치지 않고, 최종 결과를 합성할 때 중요한 가중치로 반영되고 있습니다.

이 세 가지 역할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추론 요청은 수수료를 발생시키고, 이는 Cosmos SDK 기반 합의 메커니즘을 통해 Workers와 Reputers, 검증자에게 분배되고 있습니다. 즉, Allora는 단순한 예측 네트워크가 아니라, 참여와 보상, 학습과 개선이 실시간으로 반복되는 자가 개선형 생태계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Plume Network와의 전략적 통합

Allora의 가능성을 가장 크게 보여준 사건은 2025년 1월 Plume Network와의 전략적 파트너십 발표였습니다. Plume는 부동산, 농업, 공급망 등 다양한 실물 자산을 온체인으로 연결하는 RWA 전문 Layer 1 블록체인으로, 이미 180개 이상의 프로젝트와 10억 달러 이상의 총 예치 자산(TVL)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 파트너십을 통해 Allora는 RWA 평가, 위험 관리, APY 예측 등에서 AI 기반 솔루션을 Plume 생태계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Allora는 부동산 자산의 실시간 가치 평가나 농업 공급망의 위험 분석 같은 작업을 AI로 처리할 수 있으며, 이 결과는 Plume 생태계에서 검증 가능한 데이터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통합은 단순한 협력이 아닙니다. RWA는 DeFi와 실물 경제를 연결하는 핵심 분야이고, Allora는 여기에 AI 기반 평가와 예측을 결합하고 있습니다. 덕분에 Allora는 단순한 AI 프로젝트가 아니라, 실물 자산 금융(RWA-Fi)의 지능 인프라로 성장하고 있는 것이죠.

토큰 경제(ALLO)와 인센티브 구조

Allora의 네이티브 토큰 ALLO는 네트워크 운영의 중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보상 수단: Workers와 Reputers, 검증자들은 기여도와 성과에 따라 ALLO를 보상받고 있습니다. 예측 정확도가 높고 평가 기여도가 큰 참여자일수록 더 많은 보상을 가져가고 있습니다.
  • 수수료 결제: 사용자가 추론 요청을 보낼 때 ALLO를 사용해 수수료를 지불하고 있습니다. 이 수수료는 네트워크 유지와 보상 분배의 원천이 되고 있습니다.
  • 거버넌스 참여: ALLO 토큰 보유자는 프로토콜 업그레이드, 수수료 정책 변경, 신규 토픽 개설 등 거버넌스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 구조의 핵심은 지분 중심이 아닌 기여 중심의 보상이라는 점입니다. 기존 AI 프로젝트가 토큰 보유량에 따라 보상이 집중되는 방식이었다면, Allora는 실제 성과와 기여를 기반으로 보상을 배분하고 있습니다. 이는 Web3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그대로 반영하는 구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경쟁 구도 속 Allora의 차별성

현재 DeAI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Bittensor, Gensyn, Chainlink, Ora와 같은 프로젝트들이 각자의 영역에서 경쟁하고 있습니다.

  • Bittensor는 분산 학습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하고 있습니다.
  • Gensyn은 분산 컴퓨팅 자원 제공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ChainlinkOra는 오라클과 AI 신호 제공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Allora는 이들과 달리 모델 집계와 평가, 인센티브를 온체인에 통합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단순히 분산 학습이나 데이터 제공에 그치지 않고, 토픽 단위로 예측을 서비스하며 기여자에게 실시간 보상을 배분하고 있습니다. 또한 Plume와 같은 파트너십을 통해 실물 자산과 직접 연결되는 구조를 만들어내고 있는 것도 큰 차별성입니다.

결론: Web3 지능 레이어의 미래

Allora Network는 단순한 AI 프로젝트가 아니라, Web3 생태계의 지능 레이어를 구축하려는 도전적인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Cosmos SDK의 기술적 기반과 Plume Network와의 전략적 통합을 통해, DeFi와 RWA 같은 실질적 금융 시장에서 AI 기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메인넷 출시, ALLO 토큰 상장, 그리고 DeFi 및 RWA 시장에서의 채택 여부가 Allora의 성공을 좌우할 것입니다. 만약 Allora가 이러한 과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한다면, “집단 지능이 만드는 최적의 추론”이라는 철학을 실현하며 DeAI 시장의 차세대 리더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입니다.

댓글 남기기